전체 페이지

304 스테인리스 강판이란?

삼성

304 스테인리스 스틸 등급: 0Cr18Ni9(0Cr19Ni9) 06Cr19Ni9 S30408
화학 조성: C: 0.08, Si: 1.0, Mn: 2.0, Cr: 18.0~20.0, Ni: 8.0~10.5, S: 0.03, P: 0.035, P: 0.035.
304L은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더 강하고 304L에는 탄소가 적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304는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내식성, 내열성, 저온 강도 및 기계적 성질이 우수합니다. 스탬핑, 굽힘 등의 열간 가공성이 좋고, 열처리 경화 현상이 없습니다(비자성, 사용 온도 -196°C~800°C).
304L은 용접이나 응력 제거 후 입계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합니다. 열처리 없이도 양호한 내식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 온도는 -196°C~800°C입니다.

기본 상황:

생산 방식에 따라 열간 압연과 냉간 압연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강종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오스테나이트계,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계, 페라이트계, 마르텐사이트계, 석출 경화형의 5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옥살산, 황산-황산제이철, 질산, 질산-불산, 황산-황산구리, 인산, 포름산, 아세트산 등 다양한 산의 부식에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화학 공업, 식품, 의약, 제지, 석유, 원자력 등 산업은 물론 건설, 주방용품, 식기류, 차량, 가전제품의 다양한 부품에 널리 사용됩니다.
스테인리스 강판은 표면이 매끄럽고 가소성, 인성, 기계적 강도가 높으며, 산, 알칼리성 가스, 용액 및 기타 매체에 의한 부식에 강합니다. 녹슬기 어려운 합금강이지만, 완전히 녹슬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스테인리스 강판 생산방법에 따라 열간압연과 냉간압연으로 나눌 수 있으며, 두께 0.02~4mm의 얇은 냉간판과 두께 4.5~100mm의 중후판이 있습니다.
다양한 스테인리스 강판의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경도 등의 기계적 성질이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하기 위해 강판은 납품 전에 열처리(어닐링, 용액처리, 시효처리 등)를 거쳐야 합니다. 05.10 88.57.29.38 특수기호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은 주로 합금 조성(크롬, 니켈, 티타늄, 실리콘, 알루미늄 등)과 내부 구조에 따라 달라지며, 주요 역할은 크롬입니다. 크롬은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 강판에 부동태 피막을 형성하여 금속을 외부로부터 격리하고, 강판을 산화로부터 보호하며, 강판의 내식성을 향상시킵니다. 부동태 피막이 파괴되면 내식성이 저하됩니다.

국가 표준 특성:

인장강도(Mpa) 520
항복강도(Mpa) 205-210
신장률(%) 40%
경도 HB187 HRB90 HV200
304 스테인리스 강의 밀도는 7.93 g/cm³입니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은 일반적으로 이 값을 사용합니다. 304의 크롬 함량(%)은 17.00-19.00, 니켈 함량(%)은 8.00-10.00입니다. 304는 우리나라의 0Cr19Ni9(0Cr18Ni9) 스테인리스 강과 동일합니다.
304 스테인리스 스틸은 다재다능한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200 시리즈 스테인리스 스틸보다 녹 방지 성능이 뛰어나며, 고온 내성도 더 뛰어납니다.
304 스테인리스강은 스테인리스 내식성이 뛰어나고 입자간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더 좋습니다.
산화성 산의 경우, 304 스테인리스강은 끓는점 이하의 질산 농도가 65% 이하일 때 강한 내식성을 갖는 것으로 실험 결과 밝혀졌습니다. 또한 알칼리 용액과 대부분의 유기산 및 무기산에 대해서도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인 특성:

304 스테인리스 스틸 판은 표면이 아름답고 다양한 활용 가능성이 있습니다.
내식성이 우수하여 일반강보다 내식성이 우수합니다.
강도가 높아서 얇은 판재 사용 가능성이 크다
고온 산화에 강하고 강도가 높아 화재에도 강함
상온 가공, 즉 쉬운 플라스틱 가공
표면처리가 필요 없어 간편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합니다.
깨끗하고 고급스러운 마감
좋은 용접 성능

 

드로잉 퍼포먼스
1, 건식연마 브러싱
시중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긴 와이어와 짧은 와이어입니다. 이러한 표면을 가공한 304 스테인리스 강판은 우수한 장식 효과를 나타내어 일반 장식재의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04계 스테인리스 강판은 한 번의 스크럽만으로도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공 장비는 저렴한 비용, 간편한 조작, 낮은 가공 비용, 그리고 폭넓은 적용 범위로 인해 가공 센터의 필수 장비로 자리 잡았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머시닝 센터는 긴 와이어와 짧은 와이어의 프로스트 가공 강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중 304 강판이 80% 이상을 차지합니다.
2, 오일 밀 도면
304 계열 스테인리스 스틸은 오일 연삭 후 완벽한 장식 효과를 나타내며 엘리베이터 및 가전제품과 같은 장식 패널에 널리 사용됩니다. 냉간 압연 304 계열 스테인리스 스틸은 일반적으로 한 번의 프로스팅 패스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시중에는 열간 압연 스테인리스 스틸에 오일 프로스팅을 제공할 수 있는 가공 센터가 몇 군데 있으며, 그 효과는 냉간 압연 오일 연삭과 유사합니다. 오일 드로잉은 장필라멘트와 단필라멘트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필라멘트는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장식에 사용되며, 다양한 소형 가전제품 및 주방용품에는 두 가지 종류의 질감이 있습니다.
316과의 차이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두 가지 스테인리스강은 304와 316(또는 독일/유럽 표준 1.4308, 1.4408에 해당)입니다. 316과 304의 화학 조성의 주요 차이점은 316에 Mo가 함유되어 있다는 점이며, 일반적으로 316이 내식성이 더 우수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 고온 환경에서는 304보다 내식성이 더 뛰어납니다. 따라서 고온 환경에서 엔지니어들은 일반적으로 316 재질로 제작된 부품을 선택합니다. 하지만 소위 '무(無)'라는 말은 절대적인 의미가 아닙니다. 진한 황산 환경에서는 아무리 고온이라도 316을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기계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실을 배웠을 것이고, 고온에서 실이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어두운 고체 윤활제인 이황화몰리브덴(MoS2)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할 것입니다.이로부터 2가지 요점을 도출합니다.결론은 다음과 같지 않습니다.[1] Mo는 실제로 고온 내성 물질입니다(금을 녹이는 데 사용하는 도가니가 무엇인지 아십니까?몰리브덴 도가니!).[2] 몰리브덴은 높은 원자가의 황 이온과 쉽게 반응하여 황화물을 형성합니다.따라서 초강력하고 내식성이 뛰어난 스테인리스강은 없습니다.최종 분석에서 스테인리스강은 불순물이 더 많은 강철 조각입니다(하지만 이러한 불순물은 강철보다 내식성이 더 뛰어납니다^^).그리고 강철은 다른 물질과 반응할 수 있습니다.

 

표면 품질 검사:

304 스테인리스 강의 표면 품질은 주로 열처리 후 산세척 공정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전 열처리 공정으로 형성된 표면 산화 피막이 두껍거나 조직이 불균일하면 산세척만으로는 표면 마감 및 균일성을 개선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열처리 후 가열 또는 열처리 전 표면 세정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스테인리스 강판의 표면 산화막 두께가 균일하지 않으면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의 모재 표면 거칠기가 서로 다르므로 강판 표면이 고르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열처리 및 가열 과정에서 산화막 스케일을 균일하게 형성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려면 다음 사항에 주의해야 합니다.
스테인리스 강판을 가열할 때 가공물 표면에 오일이 부착되면 오일 부착 부분의 산화 스케일 두께 및 조성이 다른 부분의 산화 스케일 두께 및 조성과 달라 침탄이 발생합니다. 산화 피막 아래의 모재의 침탄된 부분은 산에 의해 심하게 부식됩니다. 초기 연소 시 중유 버너에서 분사되는 오일 방울도 가공물에 부착되면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작업자의 지문이 가공물에 묻어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자는 손으로 스테인리스 강 부품을 직접 만지지 말고 가공물에 새 오일이 묻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깨끗한 장갑을 착용해야 합니다.
냉간 가공 시 가공물 표면에 윤활유가 묻어 있을 경우 트리클로로에틸렌 탈지제와 가성소다 용액으로 충분히 탈지한 후 따뜻한 물로 세척하고 열처리를 실시해야 합니다.
스테인리스 강판 표면에 불순물이 있는 경우, 특히 유기물이나 재가 가공물에 붙어 있는 경우 가열하면 당연히 스케일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스테인리스 강판로 내 분위기 차이 로 내 분위기는 각 부위마다 다르며, 산화 피막 형성도 달라지는데, 이는 산세척 후 불균일성의 원인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가열 시 로 내 각 부위의 분위기를 동일하게 유지해야 하며, 이를 위해 분위기 순환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작업물을 가열하는 데 사용되는 플랫폼을 구성하는 벽돌, 석면 등에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가열 시 수분이 증발하여 수증기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의 분위기가 다른 부분과 달라집니다. 단지 다를 뿐입니다. 따라서 가열된 작업물에 직접 접촉하는 물체는 사용하기 전에 완전히 건조시켜야 합니다. 단, 건조 후 실온에 두면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작업물 표면에 여전히 수분이 응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하기 전에 건조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스테인리스 강판의 처리 부분에 열처리 전에 잔류 스케일이 있는 경우, 가열 후 스케일이 잔류하는 부분과 스케일이 없는 부분의 스케일 두께와 구성에 차이가 생겨 산세척 후 표면이 고르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최종 열처리뿐만 아니라 중간 열처리와 산세척에도 충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가스 또는 오일 불꽃과 직접 접촉하는 스테인리스 스틸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는 산화 스케일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가열 중에는 처리물이 불꽃 입구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스테인리스 강판의 표면 마감의 차이에 따른 효과
표면 거칠기가 다르면, 동시에 가열하더라도 표면의 거친 부분과 미세한 부분의 산화 스케일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국부 결함을 세척한 부분과 세척하지 않은 부분에서 산화 피막 형성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산세척 후 가공물 표면이 고르지 않게 됩니다.

금속의 전체 열전달 계수는 금속의 열전도도 외에 다른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부분의 경우, 피막의 방열 계수, 스케일, 그리고 금속 표면 상태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스테인리스강은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하여 열전도도가 높은 다른 금속보다 열 전달이 더 뛰어납니다. 랴오청 산토리 스테인리스강은 8. 스테인리스강 판재 기술 기준을 제공합니다. 우수한 내식성, 굽힘 성능, 용접부의 인성, 용접부의 스탬핑 성능을 갖춘 고강도 스테인리스강 판재와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합니다. 구체적으로, C: 0.02% 이하, N: 0.02% 이하, Cr: 11% 이상 17% 미만, Si, Mn, P, S, Al, Ni의 적절한 함량을 가지며 12≤Cr Mo 1.5Si≤ 17을 만족한다. 1≤Ni 30(CN) 0.5(Mn Cu)≤4, Cr 0.5(Ni Cu) 3.3Mo≥16.0, 0.006≤CN≤0.030인 스테인리스 강판을 850~1250°C로 가열한 후, 1°C/s 이상의 냉각 속도로 냉각하는 열처리를 실시한다. 이렇게 하면 체적 기준으로 12% 이상의 마르텐사이트를 함유하는 조직, 730MPa 이상의 고강도, 내식성 및 굽힘 성능, 용접 열영향부의 우수한 인성을 갖는 고강도 스테인리스 강판이 될 수 있다. Mo, B 등을 재사용하면 용접부의 스탬핑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스테인리스강은 산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산소와 가스 불꽃으로는 스테인리스강판을 절단할 수 없습니다. 두께 5cm의 스테인리스강판은 다음과 같은 특수 절단 공구를 사용하여 가공해야 합니다. (1) 고출력 레이저 절단기 (레이저 절단기) (2) 유압 톱 기계 (3) 연삭 디스크 (4) 수동 톱 (5) 와이어 절단기 (와이어 절단기) (6) 고압 워터젯 절단 (전문 워터젯 절단: 상하이 신웨이) (7) 플라즈마 아크 절단


게시 시간: 2023년 3월 10일

메시지를 남겨주세요